며칠 전 친한 동생이 메시지를 보내 최근에 시작한 신서유기 시즌 4를 강력 추천했다. 야근이 잦고 고된 회사생활 가운데 유일한 낙이라며.

늘어지는 금요일의 밤, 때마침 TV에서 재방송을 틀어 주길래 첫 회를 봤는데 공교롭게도 이번 신서유기의 배경지는 베트남이었다. 동생과 나는 몇해 전 베트남에서 같이 동고동락하며 여러 추억을 공유한 사이였다.

▲ 베트남의 청명한 하늘. 알쓸신잡에 나온 김영하 작가의 표현처럼 햇빛이 참 바삭바삭하다. (그러나 현실은 너무너무 습한)


베트남어로 상호명이 큼지막하게 적힌 간판, 좁고 높은 건물들, 왁자지껄한 공기, 쨍한 날씨. 요즘따라 더 그리운 베트남 풍경..

그중에서도 단연 '분짜(Bun cha)'가 눈에 띄었다. 얇은 쌀국수 면인 분(Bun)과 고기를 다지고 치대서 구운 미트볼 형식의 짜(cha)를 합쳐 분짜라고 하는데, 돼지고기 짜(Cha thit lon)와 함께 삼겹살을 내주거나 신서유기에 나온 곳처럼 고기를 양념해서 그냥 구워내는 식으로도 나온다.

▲ 분짜 사진이 외장하드 구석 어딘가에 짱박혀 도무지 보이지 않기에 대신 가져온 분팃느엉(Bun thit nuong; 구운 고기 쌀국수) 사진. 쿠킹클래스에서 직접 만들고 세팅한 것이다. 분짜도 각자 그릇에 면과 고기와 야채를 대충 이런 느낌으로 담아서 느억맘 소스를 끼얹어 먹는다.

사실 나에게 분짜는 애정이 담뿍 담긴 정성 그 자체다. 내가 베트남에서 처음 사귄 친구에게 대접받은 음식도, 처음으로 한국어를 가르친 제자들에게 대접받은 음식도 모두 분짜였다.

분짜는 그만큼 대중적이면서도 귀한 손님들에게 내놓기에 손색 없는 정성이 담긴 음식이다. 들어가는 내용물은 참 간단해보이지만 메인인 짜를 만드는 과정은 쉽지 않다. 그도 그럴 것이 '짜'는 직화로 굽기 때문에 베트남의 덥고 습한 날씨를 감안하면 정말이지 집에서 만들기 싫은 음식, 주부들이 만들기 꺼려하는 음식이 아닐 수 없다.

▲ 지글지글한 뙤약볕에 장우산을 양산처럼 대동하고 돼지고기 짜(Cha thit lon)를 굽느라 바쁜 베트남 학생. 참 고생이 많다ㅠㅠ

 

장시간 작은 화로 앞에서 불을 피우고, 고기를 알맞게 굽고, 뒤집고, 부채질을 하는 동안 풍겨 오는 숯불 구이의 냄새는 좀 많이 환상적이다. 초대받은 손님이 일찌감치 맛에 대한 기대를 하게 만들고, 맛을 보고 나면 집주인에게 감사하게 되는, 삼삼오오 다같이 둘러 앉아 분과 짜와 향신채를 나눠 먹으며 웃음꽃을 피우게 되는 그런 음식이다.

또한 보통 삼겹살 부위를 사용하기에 삼겹살이라면 꿈뻑 죽는 한국인들은 물론, 피쉬 소스가 들어가긴 하지만 과하지 않고 새콤 달콤한 소스 덕에 외국인들에게도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다.

 

▲ 완성된 분짜 상차림. 다양한 모습만큼이나 다양한 색채를 좋아하는 베트남 사람들의 화려한 꾸밈 방식새우를 좋아한다고 했더니 비싼 새우를 두 대접이나 구워줬다. 아래 오징어 김치전은 뭐라도 해야할 것 같던 나의 작품인데, 다른 접시들과 드레스 코드를 맞추려고 애쓴 흔적이 보인다. ^^;


안그래도 최근에 내맘대로식 분짜를 해먹었다.
여전히 베트남에서 일하는 한국 친구에게 부탁해 공수받은 느억맘(Nuoc mam; 피쉬 소스)으로 예전 쿠킹 클래스에서 배웠던 레시피를 떠올려가며 소스를 만들고, 삼겹살을 팬에 굽고, 분 면을 삶아 곁들여 먹었다. 채소는 아쉬운대로 상추, 파, 부추 정도.

약식 분짜도 맛이 꽤 괜찮았지만 현지의 느낌을 따라가긴 힘들었다.
더위를 이겨 가며 열심히 구운 고기의 맛과 향, 그 냄새와 함께 떠올려지는 현지 친구들의 정성스러운 손길들.. 애초에 그 최고의 요리 비결을 능가할 리 만무했지만.

베트남, 특히 하노이에 한번 쯤이라도 와본 사람들은 교통이라면 아주 진저리를 칠 것이다.



빽빽하게 들어선 오토바이들이 요리조리 빈틈을 놓치지 않고 앞으로 밀며 밀리며 나아가는 풍경.

특히 아침,  저녁 러시아워와 주말이면 도로는 거의 통제 불능의 상태가 된다.

하기사 대중교통이라고는 낡은 버스뿐인 베트남에서 베트남 사람들이 택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이동수단은 오토바이일 것이다.


우선 자동차는 너무 비싸다.

베트남은 자동차를 수입에 의존하는데 수입관세가 거의 100% 부과된다.

예를 들면, 한국에서 2,000만원인 모닝을 두배 가격인 4,000만원에 사야하는 것이다. 때문에 웬만큼 잘 살지 않으면 차를 몰기 힘들다.


기름값도 휘발유가 리터당 21,000동(우리 돈으로 1000원 수준) 정도로 한국사람들에겐 저렴하지만,

현지 사람들의 평균 소득이 한국의 1/10 수준이라는 것을 감안할 때 그렇게 싼 가격은 아니다.


베트남에서 오토바이를 타는 것은 여러모로 불가피한 선택인 것이다.

물론 자전거, 전기자전거라는 대안이 있긴 하지만 그보다는 힘이 덜 들고 빠르고 멀리까지 갈 수 있는 오토바이의 인기가 많은 것은 당연하다.


그나마 호치민에는 곧 지하철이 들어선다고 한다.

호치민은 경제적으로 발달해 자동차 이용 비율도 높고 교통질서도 더 나은 편이다.


그에 비해 지금도 한창 고속도로 건설 등 도로정비를 하느라 바쁜 하노이는 언제 지하철을 도입하고 언제 성숙한 교통질서의식을 갖추게 될까?

오토바이는 차처럼 덩치가 크지 않기 때문에 여기저기 맨몸처럼 자유자재로 스며들 수 있다.

그래서 교통 혼란을 더 가중시킨다.

일종의 추월 문화가 존재한다고 보면 된다.


너도나도 오토바이 추월문화에 익숙하다보니 덩치 큰 차량에도 추월관성이 이어진다.

종종 손님을 목적지까지 안전하게 모셔야 하는 본분을 망각한채 레이싱을 일삼는 택시기사를 만나기도 하고,

호시탐탐 차선을 바꾸려 시도하는 몇톤급 공사차량들을 마주하기도 한다.

물론 뭐든 하면 는다고 추월에 대처하는 운전자들의 반응도 기민한 편이지만, 여전히 큰 위험에 노출되어 있기에 두려워하지 않을 수가 없다.


또 한 가지 거론되는 소음 문제.

오토바이 엔진 소리는 기본으로 까는 배경음악같은 느낌이다.

도시 외곽 공업지대에는 공사용 트럭까지 가중하여 어마어마한 클락션 소리가 엄청난 스트레스를 불러일으킨다.

사실 가장 피해를 보는 것은 도로의 운전자들인데, 맨몸으로 도로에 방치되다보니 소음에 대한 역치가 높아진 것 같다.

우선 대체적으로 말소리가 클 뿐만 아니라 결혼식 등 행사가 있을 때 귀청이 떨어질 만큼 음악을 크게 틀기도 한다.

흥을 돋우기 위함일 수 있지만 너무 과한 측면이 있다. 그 데시벨은 경험해 본 사람만 알 것이다.


공해는 두말할 것도 없다.

오토바이는 매연감소장치가 없기 때문에 1대가 자동차 3대보다 더 많은 매연을 배출한다고 한다.

그 때문인지 한국에 유학간 베트남 친구가 서울 공기가 정말 좋다고 하기에 쓴웃음을 지을 수밖에 없었다.


총체적으로 난감한 베트남의 교통.

누구든 교통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면 여전히 "답이 없다"로 끝나는 게 이곳 베트남이다.

수입차 관세 인하라던가, 자체 제조 기술력 확보, 대중교통시설 투자 등 좀 더 큰 차원에서 개선되지 않으면 당분간 크게 달라지진 않을 것 같다.


그저 조금씩이라도 더 나아지기만을 바랄뿐이다.


+ Recent posts